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캐나다에 살고 있습니다

[캐나다 이민] 2025년 첫 CEC 추첨! + LMIA 점수 폐지 후 EE는 어떻게 될까? 2025년 첫 Express Entry CEC 추첨, 그리고 LMIA 점수 폐지가 가져올 변화  드디어 2025년 첫 Express Entry Canadian Experience Class(CEC) 추첨이 오늘 1월 8일에 있었습니다. 지난주 저스틴 총리의 의회 중단 발표 이후, 많은 분들이 Express Entry 시스템과 캐나다 이민 정책 전반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셨을 텐데요. 어제 진행된 PNP 추첨과 오늘의 CEC 추첨 결과를 보며 그 불안감을 조금 덜어낼 수 있는 하루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럼 이번 추첨 결과와 함께, 올해 봄부터 예고된 LMIA 점수 폐지가 앞으로 Express Entry 점수와 추첨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 2025년 첫 CEC 추첨 결과 이번 .. 더보기
[캐나다 이민] 추방 절차 진행 금액 '열배' 인상 추방 절차 진행 금액 한껏 올리기로, 차라리 니가 알아서 내고 빨리 나가줘 라는.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이 2025년 4월부터 추방 대상자에게 부과하는 비용을 대폭 인상한다는 뉴스가 발표되었습니다. 호송이 포함된 경우 약 12,800달러, 호송이 없는 경우에도 약 3,800달러로, 기존 1,500달러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는 금액입니다. 그런데 보통 이 기사를 보는 사람들의 첫 반응은 “아니 근데, 이렇게 돈이 많이 든다고?!!!” ㅎㅎ 단순히 비행기표만 사서 떠나면 되는 것 아니냐는 생각에 이러게 생각하는 게 당연하긴 하죠. 하지만, 캐나다의 추방 절차는 단순한 '비행기표 끊고 꺼져주세요' 수준이 아닙니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수많은 과정과 비용이 숨어 있죠. 한번 생각해봅시다 같이. 왜 이렇게.. 더보기
[캐나다 이민] 현 저스틴 총리, 드디어 사임하나? 앞으로의 이민 향방은? 쥐스탱 트뤼도, 총리직 사임 발표 임박?  오늘 1월 5일 Globe and Mail에 나온 보도로, 로이터 통신을 비롯한 모든 매체들이 다 기사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바로 우리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드디어 이번 주 내로 자유당 대표직에서 사임할 가능성이 제기된 것인데요. 이게 무슨 말이냐고요? 그의 사임은 총리직에서 물러나는 것을 의미하고, 곧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당내 경선을 촉발할 걸로 예상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올해 말까지 총리 선거를 기다리지 않아도 될거라는 이야기. 사임 배경: 당내 갈등과 정책적 대립 트뤼도 총리는 오랜 기간 동안, 특히나 2024년 내내 당내 의원들로부터 사임 압력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그의 주요 동맹이자 재무 장관이었던 크리스티아 프리랜드가 지난 12월 16일 정책적.. 더보기
[캐나다 이민] 케어기버 이민 대체 언제 나오는거니? 케어기버 이민 대체 언제 나오는거니? 2024년 12월 17일, NDP의 제니 콴(Jenny Kwan) 의원이 캐나다 의회에서 강력히 제기한 질문은 많은 이민 대기자들의 답답함을 대변했죠. "케어기버 파일럿 프로그램이 이미 6월에 만료되었는데, 대체 언제 새로운 프로그램이 나옵니까? 자유당은 또 약속을 저버리는 건가요?" 요 질문은 정부의 침묵과 미비한 후속 조치에 대한 불만을 한껏 담고 있었는데 이에 대해 마크 밀러(Marc Miller) 이민부 장관은 생각보다 차분하게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케어기버는 이 나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여전히 새로운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며, 일부 수정을 거치고 있지만, 이는 정부의 주요 우선순위 중 하나입니다." 그의 발언은 프로그램이 진행 중임을 .. 더보기
[투자] 미국 채권 VS 주식 VS 금리 인하의 상관 관계와 투자 방향 채권 가격, 미국 주식, 그리고 FOMC 금리 인하 가능성: 상관관계와 투자 전략 최근 투자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금리”**입니다. 특히 FOMC 회의에서 나오는 금리 결정은 채권 시장과 주식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게 중요하죠. 이번 글에서는 채권 가격과 주식 시장의 상관관계, 그리고 FOMC 금리 인하 시나리오에 따른 투자자들이 참고해야 할 사항을 정확한 사실과 근거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채권 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채권의 가격과 금리는 역(反)상관관계를 가집니다.금리가 상승하면 → 기존 채권의 매력도가 떨어져서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금리가 하락하면 → 기존 채권의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아져서 채권 가격은 상승합니다... 더보기
[캐나다 이민] 소도시 이민 RNIP 2기 드디어 시작인가? 와, 드디어 캐나다 소도시 이민 프로그램 2기가 시작할 분위기입니다. 관보 링크는 여기: https://gazette.gc.ca/rp-pr/p1/2024/2024-12-14/html/notice-avis-eng.html#na2   이름도 살짝 바뀌었어요. 기존 **RNIP (Rural and Northern Immigration Pilot)**에서 새로운 이름 Rural Community Immigration Class, 줄여서 RCIC로 말이죠. 근데 RCIC라니, 이름이 참 재밌지 않나요? 이게 제 **캐나다 이민 전문 자격증(Regulated Canadian Immigration Consultant)**의 약자와 똑같거든요. 😂 뭐 이래저래 기억하기 쉽네요. 1. 진행 상황: 이제 막 첫걸음을 뗐.. 더보기
[캐나다 이민] 한국, 비상 계엄령 선포_2024년 12월 03일 "45년 만의 계엄령, 그날 밤의 담화"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의 밤은 평소와 다름없는 고요 속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오후 10시 23분, 긴급 대국민 담화 방송이 시작되면서 일상은 순식간에 긴장감으로 바뀌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국민 앞에 섰고, 그의 입에서 나온 말은 온 나라를 충격에 빠뜨렸다. “지금 우리 국회는 범죄자 집단의 소굴이 되었고, 입법 독재를 통해 국가의 사법·행정 시스템을 마비시키며,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전복을 기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어진 발표. “이에 따라, 저는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합니다.” 11시, 계엄사령부의 포고령 제1호가 공식 발표되었다. 대한민국은 45년 만에 계엄 상태로 진입했다. 마지막으로 비상계엄이 선포되었던 것은 .. 더보기
[캐나다 이민] 지금 이미 국가별 쿼터제를 시행하고 있나? 간접제한이 국가별 쿼터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캐나다 이민 정책에서 Indirect Strategy(간접 제한)라는 개념을 들어본 적 있나요? 캐나다는 헌법상 국가별 쿼터제를 시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헌법상 인종, 국적, 출신 국가 등을 기준으로 차별할 수 없기 때문이죠. 물론, 최근 퀘벡이 자체적으로 특정 이민 프로그램을 중단한 것은 그 지역의 독립적인 권한이었으니 예외로 두더라도, 캐나다 연방정부 차원에서는 직접적인 국가별 제한이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캐나다는 정말로 특정 국가를 제한하지 않는 걸까요? 아니면 우회적인 방법으로 특정 국가를 배제하는 정책을 이미 실행하고 있는 걸까요? 최근 일련의 정책 변화들을 보면, 이것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 캐나다 이민..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