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캐나다이민

[캐나다 이민] 진짜로 반을 줄여버릴 줄이야... 2025년 주정부 이민 할당량 발표 캐나다 연방 정부에서 2025년 각 주정부를 위한 할당량 발표안녕하세요! 비히어 이민 컨설팅의 알렉스 킴입니다. 주정부들의 엄청난 화가 동반된 기사들이 이번주에 여러개가 올라왔는데요, 이것들 정리해서 2025년 캐나다 주정부 이민을 한번 같이 예상해봅시다.2025년 캐나다 PNP(주정부 이민 프로그램) 쿼터에 대해 중요한 변화는 이미 작년에 예정이 되어있었죠. 반으로 삭감시켜 버린다고 이미 연방 정부에서 으름장을 놨었으니깐요. 주요 내용을 아래에 정리해 봤습니다.1. PNP 쿼터 축소전체 이민 목표가 약 10만 명 감소하면서 PNP 할당량도 대폭 줄어들었습니다. 일부 주의 경우 쿼터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는데요, 특히 뉴펀들랜드 & 래브라도는 2024년 300명에서 2025년 150명으로 줄었고, 노바스.. 더보기
[캐나다 이민] "시작!"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제한 규정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자격 조건 업데이트 오늘 1월 21일부터 부터 캐나다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신청 자격 조건에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어제까지 기존 규정에 따라 신청서를 제출하셨던 분들은 정말 다행이죠. 저희도 지난주에 바뀐다! 라고 한 사전 발표 후에, 해당되는 케이스들 접수를 위해 어찌나 달렸는지 몰라요. 어제 정말 너무나도 바빴다는.  그리고 오늘 완벽하게 체인지된 새 규정이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한번 볼까요? 제가 이민국 사이트 스크린샷 보여드리면서 자세히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무엇이 바뀌었나요? 이번 변경 사항은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면서, 주신청자의 고용 조건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뭐 그렇게 말한다고 해도 숨은 배경에는 배우자 워킹 비자를 너무.. 더보기
[캐나다 이민] LMIA 실업률 통계 업데이트: 밴쿠버 LMIA 가능해짐 ••• LMIA 신청을 위한 실업률 통계 업데이트: 밴쿠버의 변화와 기회 •••   1. LMIA와 실업률 기준의 중요성 작년 9월말 이후로 LMIA가 타잇해지면서, 이제 캐나다에서 Labour Market Impact Assessment(LMIA)를 신청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다들 아시죠? 특히, LMIA를 Low Wage 카테고리로 신청하려는 회사는 위치한 도시의 실업률이 6% 미만이어야 하는게 첫번째 기준인데요. 이 기준은 캐나다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때 국내 근로자의 기회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것입니다. 뭐 그럴싸한 이유기도 하고 현실적으로 로컬의 친구들이 취업 자리를 싸구려 남아시아 애들에게 다 뺏기고 있는 건 사실이긴 하니깐요... 더보기
[캐나다 이민]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 "변경안" 최종 정리편.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 "변경안" 최종 정리편 요즘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Spousal Open Work Permit)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고, 헷갈려하는 질문을 주셔서 이 주제를 정리한번 해보죠. 특히 최근 변화가 예고된 규정들이 있기 때문에, 배우자 비자 신청을 준비 중인 분들은 꼭 참고하신느 게 좋을 거 같아요 배경: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왜 이렇게 중요할까? 캐나다는 외국인 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이민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입니다. 이 비자는 주 신청자의 직업과 무관하게 배우자가 캐나다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인데요. 이 제도는 캐나다에서 함께 생활하는 가정에게 경제적 안정과 직업 선택의 자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굉.. 더보기
[캐나다 이민] 플래그 폴딩. 닫혀버린 그 문에 대해. 플래그폴링의 문 닫힌 이야기, 그리고 대안 찾기  최근에 미국 국경을 돌아 캐나다로 입국하면서 비자 신청을 완료하는 "플래그폴링(flagpoling)"이 어려워졌다는 소식, 많이들 들으셨죠? 캐나다 안에서 온라인으로 워킹 비자를 신청하면 기다려야하는 기간이 길었고 그때문에 국경으로 직접 가서 즉결 심사를 오피서와 함께 진행해서 바로 결과는 받는 용도로 많이 사용이 되었습니다. 작년에 워킹 홀리데이(워홀)나 영프(Young Professionals) 비자를 신청하는 친구들 사이에서도 이 방법으로 캐나다 내에 있던 친구들이 국경으로 내려가서 새로비자를 액티베이션을 많이 시켰었죠.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일반적인 방법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런데 이게 참 헷갈려요. 예외 규정(Exempt.. 더보기
[캐나다 이민] 2025년 첫 CEC 추첨! + LMIA 점수 폐지 후 EE는 어떻게 될까? 2025년 첫 Express Entry CEC 추첨, 그리고 LMIA 점수 폐지가 가져올 변화  드디어 2025년 첫 Express Entry Canadian Experience Class(CEC) 추첨이 오늘 1월 8일에 있었습니다. 지난주 저스틴 총리의 의회 중단 발표 이후, 많은 분들이 Express Entry 시스템과 캐나다 이민 정책 전반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셨을 텐데요. 어제 진행된 PNP 추첨과 오늘의 CEC 추첨 결과를 보며 그 불안감을 조금 덜어낼 수 있는 하루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럼 이번 추첨 결과와 함께, 올해 봄부터 예고된 LMIA 점수 폐지가 앞으로 Express Entry 점수와 추첨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 2025년 첫 CEC 추첨 결과 이번 .. 더보기
[캐나다 이민] 추방 절차 진행 금액 '열배' 인상 추방 절차 진행 금액 한껏 올리기로, 차라리 니가 알아서 내고 빨리 나가줘 라는.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이 2025년 4월부터 추방 대상자에게 부과하는 비용을 대폭 인상한다는 뉴스가 발표되었습니다. 호송이 포함된 경우 약 12,800달러, 호송이 없는 경우에도 약 3,800달러로, 기존 1,500달러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는 금액입니다. 그런데 보통 이 기사를 보는 사람들의 첫 반응은 “아니 근데, 이렇게 돈이 많이 든다고?!!!” ㅎㅎ 단순히 비행기표만 사서 떠나면 되는 것 아니냐는 생각에 이러게 생각하는 게 당연하긴 하죠. 하지만, 캐나다의 추방 절차는 단순한 '비행기표 끊고 꺼져주세요' 수준이 아닙니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수많은 과정과 비용이 숨어 있죠. 한번 생각해봅시다 같이. 왜 이렇게.. 더보기
[캐나다 이민] 현 저스틴 총리, 드디어 사임하나? 앞으로의 이민 향방은? 쥐스탱 트뤼도, 총리직 사임 발표 임박?  오늘 1월 5일 Globe and Mail에 나온 보도로, 로이터 통신을 비롯한 모든 매체들이 다 기사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바로 우리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드디어 이번 주 내로 자유당 대표직에서 사임할 가능성이 제기된 것인데요. 이게 무슨 말이냐고요? 그의 사임은 총리직에서 물러나는 것을 의미하고, 곧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당내 경선을 촉발할 걸로 예상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올해 말까지 총리 선거를 기다리지 않아도 될거라는 이야기. 사임 배경: 당내 갈등과 정책적 대립 트뤼도 총리는 오랜 기간 동안, 특히나 2024년 내내 당내 의원들로부터 사임 압력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그의 주요 동맹이자 재무 장관이었던 크리스티아 프리랜드가 지난 12월 16일 정책적..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