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entry 썸네일형 리스트형 [캐나다 이민] 지금 이미 국가별 쿼터제를 시행하고 있나? 간접제한이 국가별 쿼터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캐나다 이민 정책에서 Indirect Strategy(간접 제한)라는 개념을 들어본 적 있나요? 캐나다는 헌법상 국가별 쿼터제를 시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헌법상 인종, 국적, 출신 국가 등을 기준으로 차별할 수 없기 때문이죠. 물론, 최근 퀘벡이 자체적으로 특정 이민 프로그램을 중단한 것은 그 지역의 독립적인 권한이었으니 예외로 두더라도, 캐나다 연방정부 차원에서는 직접적인 국가별 제한이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캐나다는 정말로 특정 국가를 제한하지 않는 걸까요? 아니면 우회적인 방법으로 특정 국가를 배제하는 정책을 이미 실행하고 있는 걸까요? 최근 일련의 정책 변화들을 보면, 이것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 캐나다 이민.. 더보기 [캐나다 이민] 다가올 2025년의 캐나다 이민은 어떨까요? 과연 다가올 2025년에는 어떤 파티가 정권을 장악하게 될까요? 그리고 우리가 겪어나가야 할 이민 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바뀌게 될까요? 과거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보수당 정권 아래 시행되었던 정책들을 살펴보며, 미래를 예상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지 않으세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보수당 정권(2010~2015)의 이민 정책들: 무엇이 달랐을까? 1. Express Entry 시스템 도입 (2015년)보수당은 Express Entry 시스템을 도입해 캐나다 이민의 첫 점수제 기반 선발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당시 이 시스템은 효율적이고 공정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초반 기준 점수가 높아 많은 이민자들이 도전조차 하기 어려웠던 것도 사실입니다. 2. CEC 특정 직종 제한 (2013년).. 더보기 이전 1 2 다음